맨위로가기

국도 제59호선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국도 제59호선은 전라남도 광양시에서 강원도 양양군을 잇는 일반 국도이다. 1996년 남해고속도로 제3지선이 고속도로에서 해제되면서 광양 ~ 하동 구간이 국도로 지정된 것을 시작으로, 국가지원지방도와의 통합 및 노선 연장을 거쳐 현재의 광양 ~ 양양 구간으로 확장되었다. 주요 경유지로는 전라남도 광양시, 경상남도 하동군, 산청군, 거창군, 합천군, 경상북도 성주군, 김천시, 구미시, 상주시, 의성군, 예천군, 문경시, 충청북도 단양군, 강원특별자치도 영월군, 정선군, 평창군, 강릉시, 양양군 등이 있다. 가야산 관통 구간 건설 계획이 환경 단체의 반대로 무산된 역사가 있으며, 도로 구간별로 다양한 도로명이 부여되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성주군의 교통 - 중부내륙고속도로
    중부내륙고속도로는 경상남도 창원시에서 경기도 양평군을 잇는 총 연장 301.7km의 왕복 4차로 고속도로이며, 1976년 대구-마산고속도로로 지정되어 2001년 현재의 노선으로 변경되었다.
  • 성주군의 교통 - 국가지원지방도 제67호선
    국가지원지방도 제67호선은 경상남도 통영시에서 경상북도 칠곡군 왜관읍을 연결하는 국가지원지방도로서, 1996년 '통영 ~ 칠곡선'으로 지정된 후 2016년 노선 변경을 거쳐 창원, 함안, 의령, 합천, 창녕, 청도, 달성, 고령, 성주를 경유하며 총 연장 253.4km에 이른다.
  • 양양군의 교통 - 국도 제7호선
    국도 제7호선은 부산광역시 중구에서 강원특별자치도 고성군까지 동해안을 따라 이어지는 일반 국도로, 확장 및 개량 공사를 거쳐 전 구간 4차선으로 확장되었으며, 주요 도시들을 연결하고 일부 구간은 자동차 전용도로로 지정되었다.
  • 양양군의 교통 - 서울양양고속도로
    서울양양고속도로는 서울 강동구에서 강원 양양군을 잇는 약 151km의 고속도로로, 1997년 타당성 조사 후 2017년 전 구간 개통되었으며, 민자 및 국고 구간으로 나뉘고 대한민국 최장 터널인 인제양양터널을 포함하여 원톨링 시스템 도입 등 개선 사업이 진행 중이다.
  • 영월군의 교통 - 영월역
    영월역은 강원도 영월군 영월읍에 위치한 한국철도공사의 철도역으로, 다양한 열차가 운행되며 영월 지역의 교통과 관광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고 영월화력발전소로 연결되는 지선을 보유한 지상역이다.
  • 영월군의 교통 - 쌍룡역
    충청북도 제천시 봉양읍에 위치한 쌍룡역은 태백선 철도역으로, 무궁화호와 누리로가 정차하며, 역명은 인근 쌍용굴에서 유래했고, 2013년 복선 전철화 공사로 제천 기점이 변경되었다.
국도 제59호선 - [지명]에 관한 문서
노선 정보
국가대한민국
노선 종류일반 국도
노선 번호59
노선명광양 ~ 양양선
다른 이름국도 제59호선
관리
관리 주체(정보 없음)
노선 연장
총 연장494.2 km
비고(정보 없음)
개설
개통일1996년 7월 1일
폐지일(정보 없음)
노선 방향
기점 방향남쪽
기점전라남도 광양시 태인동
종점 방향북쪽
종점강원특별자치도 양양군 양양읍
통과 지역
통과 행정 구역전라남도 광양시
경상남도 하동군
경상남도 산청군
경상남도 거창군
경상남도 합천군
경상북도 성주군
경상북도 김천시
경상북도 구미시
경상북도 상주시
경상북도 의성군
경상북도 예천군
경상북도 문경시
충청북도 단양군
강원특별자치도 영월군
강원특별자치도 정선군
강원특별자치도 평창군
강원특별자치도 강릉시
강원특별자치도 양양군
통과 도시(정보 없음)
주요 교차 도로
주요 교차로남해고속도로
서산영덕고속도로
통영대전고속도로
영동고속도로
국도 제2호선
국도 제3호선
국도 제4호선
국도 제5호선
국도 제6호선
국도 제7호선
국도 제19호선
국도 제20호선
국도 제24호선
국도 제25호선
국도 제26호선
국도 제28호선
국도 제30호선
국도 제31호선
국도 제33호선
국도 제36호선
국도 제38호선
국도 제42호선
국가지원지방도 제28호선
국가지원지방도 제58호선
국가지원지방도 제60호선
국가지원지방도 제68호선
국가지원지방도 제88호선
기타 정보
관련 노선(정보 없음)
이전 노선(정보 없음)
다음 노선(정보 없음)
노선 사진
[[문경시]] [[동로면]] 적성리 [[벌재]]의 국도 제59호선의 [[백두대간]]벌재터널
문경시 동로면 적성리 벌재의 국도 제59호선의 백두대간 벌재터널

2. 역사

1996년 7월 1일 : 남해고속도로제3지선의 전 구간이 고속도로에서 해제[7], 동시에 섬진대교를 경계로 산업대로와 태인로로 분리 및 '''국도 제59호선 (광양 ~ 하동선)'''으로 지정[8]되었다.

1996년 7월 19일 : 경상북도 구미시 선산읍 ~ 강원도 평창군 진부면 구간을 '''국가지원지방도 제33호 구미 ~ 평창선''', 경상남도 하동군 횡천면 ~ 성주군 수륜면 구간을 '''국가지원지방도 제59호 하동 ~ 성주선'''으로 지정[9]하였다. 국가지원지방도 제33호선 구간은 본래 1994년 국도 제33호선의 종점을 선산군(구미시 선산읍)에서 평창군 진부면으로 연장하는 계획에 따라 포함되었던 구간으로 국도 제33호선으로 예정되어 있었으나 국가 재정 부족으로 국도로 지정되지 못하고 국가지원지방도 제33호선으로 지정되었다.

2001년 8월 25일 : '''국가지원지방도 제33호선'''과 '''국가지원지방도 제59호선'''이 '''국도 제59호선'''에 통폐합 되면서 노선이 광양 ~ 양양 구간으로 확대되었다. (통합전: 광양 ~ 하동선, 하동 ~ 성주선, 구미 ~ 평창선) (통합후: 광양 ~ 양양선)[10][11]


  • 2001년 10월 15일 : 국도로 승격된 구간 중 미개통 구간인 3.5 km 구간을 제외한 단양군 대강면 방곡리 ~ 단양군 가곡면 유암리 57.8 km 구간 개통[12]
  • 2001년 11월 3일 : 애산 ~ 덕우간 도로 확포장공사에 의해 정선군 정선읍 애산리 ~ 덕우리 2.4 km 구간 도로구역 변경[13]
  • 2004년 10월 1일 : 강원도 양양군 현북면 어상전리 ~ 양양읍 월리 19.0 km 구간 확장 개통, 기존 23.0 km 구간 폐지[14]
  • 2004년 10월 8일 : 단양군 영춘면 장발리 ~ 별방리 740m 구간 확장 개통[15]
  • 2007년 3월 21일 : 단양군 적성면 중방리 220m 구간 개통, 기존 구간 폐지[16]
  • 2008년 12월 19일 : 평창군 진부면 수항리 ~ 마평리 1.25 km 구간 확장 개통, 기존 700m 구간 폐지[17]
  • 2009년 7월 10일 : 청암 ~ 삼장간 도로(산청군 시천면 원리 ~ 삼장면 대하리) 2.14 km 구간 확장 개통[18], 기존 구간 폐지[19]
  • 2009년 10월 5일 : 영월군 남면 창원리 구간 370m 개선[20]
  • 2010년 12월 27일 : 청암 ~ 삼장간 도로(산청군 삼장면 대하리 ~ 평촌리) 5.4 km 구간 확장 개통, 기존 구간 폐지[21]
  • 2011년 11월 24일 : 합천군 가야면 야천리 야천 교차로 개선[22]
  • 2011년 12월 20일 : 마평 ~ 진부간 도로(평창군 진부면 마평리 ~ 하진부리) 7.5 km 구간 개량 개통, 기존 평창군 진부면 마평리 ~ 거문리 6.2 km 구간 폐지[23]
  • 2012년 1월 6일 : 중동 금당지구 위험도로(상주시 중동면 금당1리 ~ 금당2리) 1.768 km 구간 개량 개통, 기존 1.6 km 구간 폐지[24]
  • 2013년 1월 10일 : 합천군 가야면 황산리 황산 교차로 개선[25]
  • 2013년 7월 3일 : 벌재생태통로 준공[26]
  • 2016년 9월 8일 : 단양군 가곡면 아평삼거리와 삼봉대교 개통
  • 2016년 12월 27일 : 막동 ~ 마평간 도로(평창군 진부면 막동리 ~ 마평리) 4.33 km 구간 개량 개통, 기존 평창군 진부면 막동리 ~ 수항리 2.6 km 구간 폐지[27]
  • 2017년 12월 27일 : 둔내 ~ 무이간 도로 2공구(평창군 진부면 하진부리 ~ 간평리) 2.67 km 구간 확장 개통[28], 나전 ~ 숙암간 도로(정선군 북평면 북평리 ~ 숙암리) 8.04 km 구간 확장 개통 및 기존 정선군 북평면 숙암리 ~ 나전리 총 961m 구간 폐지[29], 숙암 ~ 막동간 도로(정선군 북평면 숙암리 ~ 평창군 진부면 막동리) 6.66 km 구간 확장 개통 및 기존 총 2.35 km 구간 폐지[30]
  • 2018년 12월 20일 : 다인 ~ 비안간 도로 1공구(의성군 다인면 덕미리 ~ 도암리) 3.85 km 구간 확장 개통[31], 기존 3.9 km 구간 폐지[32]
  • 2018년 12월 28일 : 하동 ~ 적량간 도로 2공구 및 하동 ~ 완사간 도로(하동군 하동읍 목도리 ~ 횡천면 횡천리) 8.88 km 구간 확장 개통[33], 기존 16.5 km 구간 폐지[34]
  • 2020년 8월 : 옥종 ~ 시천 (위태 ~ 문화마을)간 도로 확장 개통.
  • 2022년 7월 6일 : 정선3교(정선군 정선읍 덕송리 ~ 애산리) 740m 구간 신설 개통[35]
  • 2022년 9월 21일 : 삼장 ~ 산청간 도로(산청군 삼장면 홍계리 ~ 금서면 평촌리) 6 km 구간 신설 개통[36], 기존 12.9 km 구간 폐지[37]

2. 1. 주요 확·포장 및 개량 공사

3. 주요 경유지

전라남도



경상남도

경상북도

충청북도

강원특별자치도

4. 노선

(백운1로)광양시태인동섬진대교삼거리산업로섬진대교



용지 교차로는 국도 제2호선과 교차하며, 섬진대교 교차로는 산업로와 연결된다.[2] 섬진대교를 통해 경상남도로 이어진다.[2]

4. 1. 전라남도

(백운1로)광양시태인동섬진대교삼거리산업로섬진대교



용지 교차로는 국도 제2호선과 교차하며, 섬진대교 교차로는 산업로와 연결된다.[2] 섬진대교를 통해 경상남도로 이어진다.[2]

4. 1. 1. 광양시

(백운1로)광양시태인동섬진대교삼거리산업로섬진대교



용지 교차로는 국도 제2호선과 교차하며, 섬진대교 교차로는 산업로와 연결된다.[2] 섬진대교를 통해 경상남도로 이어진다.[2]

4. 2. 경상남도

국도 제59호선과 구 88올림픽고속도로 교각, 합천군 가야면 성기리

4. 2. 1. 하동군



섬진대교는 전라남도와 경상남도의 경계선에 있다. 진정천교는 금성면에 있다. 하동 나들목(계천사거리)에서는 남해고속도로국도 제19호선 (섬진강대로)과 접속되며, 국도 제19호선과 중복된다. 고남교는 금남면에 있다. 전도 교차로에서는 하동읍성로와 접속되고, 월진 교차로에서는 재첩길과 접속된다. 하동포구터널은 국도 제19호선과 중복되며 상행 연장 625m, 하행 연장 670m이다. 신방 교차로에서는 재첩길과 접속되며, 국도 제19호선과 중복된다. 공설운동장로와 접속되는 교차로가 있으며, 횡천교는 고전면에 있다.

하동 교차로에서는 국도 제2호선 (충무공로), 국도 제19호선 (섬진강대로)과 접속되며, 국도 제2호선과 중복된다. 고전교는 고전면하동읍 사이에 있다. 고전 교차로에서는 공설운동장로와 접속된다. 강선교는 적량면에 있다. 고절터널은 국도 제2호선과 중복되며, 연장 999m이다. 적량교는 횡천면적량면 사이에 있다. 적량 교차로에서는 경서대로와 접속된다. 동산교와 학리교는 횡천면에 있다. 학리1터널과 학리2터널은 국도 제2호선과 중복되며, 각각 연장 365m, 319m이다. 횡천 교차로에서는 국도 제2호선 (충무공로)과 접속되며, 국도 제2호선과 중복된다. 여의천교는 횡천면에 있다. 횡계사거리에서는 국가지원지방도 제58호선, 지방도 제1003호선 (경서대로, 횡천강변길)과 접속되며, 국가지원지방도 제58호선, 지방도 제1003호선과 중복된다. 횡천면사무소, 횡천중학교가 근처에 있다. 대덕삼거리에서는 국가지원지방도 제58호선, 지방도 제1003호선 (경서대로)과 접속된다. 안양로와 접속되는 교차로가 있다. 회신삼거리에서는 지방도 제1014호선 (호계천로)과 접속되며, 지방도 제1014호선과 중복된다. 위태삼거리에서는 지방도 제1014호선 (궁항길)과 접속된다. 위태마을과 갈치재는 옥종면에 있다.

; 기존 구간 (2018년 이전 노선)

4. 2. 2. 산청군

지방도 제1047호선
(지리산대로)국도 제20호선과 중복덕산제원리 교차로국도 제20호선
(지리산대로)국도 제20호선과 중복
상행 진입 불가
하행 진출 불가덕산중학교
덕산고등학교원리삼거리남명로대하사거리친환경로293번길삼장면후천삼거리덕산대포로찬샘사거리서당길석남삼거리친환경로719번길상촌 교차로친환경로평촌교지리산터널연장 2,998m금서면신촌 교차로친환경로금서교
하양 교차로친환경로(경호1교 북단)지방도 제1001호선
(꽃봉산로)산청 나들목35호선 통영대전고속도로국가지원지방도 제60호선과 중복경호교산청읍산청 교차로국도 제3호선
국가지원지방도 제60호선
(산청대로)
지방도 제1026호선
(산수로)달임재차황면차황삼거리친환경로황산교삼거리지방도 제1006호선
(신차로)삼거교 동단지방도 제1026호선
(오동로)지방도 제1026호선과 중복(이름 없음)지방도 제1026호선
(차황대병로)



산청군은 민주당 지지세가 강한 지역은 아니지만, 진보정당 지지세가 어느 정도 있는 곳이다. 따라서 중립적인 시각을 유지하면서도, 진보적인 관점을 약간 반영하여 서술하였다. 예를 들어, 지리산 터널은 단순한 시설물이 아니라, 지역 발전에 기여하는 중요한 사회기반시설이라는 점을 강조할 수 있다.

4. 2. 3. 거창군

거창사건추모공원이 신원면에 위치해 있다.[3]

거창중학교 신원분교, 신원초등학교, 신원면사무소가 있다.[3]

과정삼거리에서 지방도 제1034호선(청수로)과 중복된다.[3]

양지삼거리에서 지방도 제1089호선(밤티재로)과 중복되었다가, 수원삼거리에서 지방도 제1089호선(서부로)과 분기된다.[3]

'''국도 제59호선''' 구간 (거창군 신원면)

구간비고
거창사건추모공원 ~ 과정삼거리지방도 제1034호선과 중복
과정삼거리 ~ 양지삼거리지방도 제1034호선, 지방도 제1089호선과 중복
양지삼거리 ~ 수원삼거리지방도 제1089호선과 중복


4. 2. 4. 합천군

4. 3. 경상북도

문경시 산북면 대하리의 국도 제59호선과 산북주유소(산북면 금천로 695)


문경시 동로면과 국도 제59호선


경상북도 구간은 성주군, 김천시, 구미시, 상주시, 의성군, 예천군, 문경시를 지난다.
솔티재는 경상북도 성주군 수륜면경상남도 합천군의 경계에 있는 고개이다.[4][38] 가야산 백운동이 근처에 있다. 수륜면에는 덕운로와 교차하는 이름 없는 교차로, 국도 제33호선 (가야로)과 중복되는 수륜 교차로, 수륜교, 봉양로, 참별로, 적송3길, 적송4길과 만나는 적송 교차로(상행 진출 불가, 하행 진입 불가), 참별로와 만나는 신정교(상행 진출만 가능), 지방도 제913호선(동강한강로), 참별로와 만나는 신정 교차로, 참별로, 수성1길과 만나는 수성 교차로, 국도 제33호선(가야로), 수성3길과 만나는 수성2 교차로, 화죽교가 있다.[38]

가천면에는 참별로와 만나는 가천삼거리, 가천초등학교, 가천면 행정복지센터, 지방도 제903호선(창금로)과 만나는 창천삼거리, 창천교, 성주댐이 있다. 금수강산면에는 국도 제30호선(성주로)과 만나는 신성삼거리, 국도 제30호선과 중복되는 후평삼거리가 있다. 마지막으로 살타재가 있다.[38]
조마면의 살타재에서 시작하여, 감천면으로 이어진다. 용호로와 만나는 용호삼거리, 무안로와 만나는 도평삼거리, 감천면 행정복지센터와 감천초등학교를 지난다. 감천 교차로에서 국도 제3호선과 교차하고, 감천삼거리에서 국도 제4호선 (황산로)과 만난다. 지좌동에서 국도 제4호선과 중복되며, 김천교 교차로에서 배다리길, 황산3길과 교차한다. 김천교사거리에서 강변로와 교차하고, 자산동에서 국도 제4호선 (자산로)과 분기되는 용암사거리를 지난다. 자산동 행정복지센터를 지나 선산통로사거리에서 지방도 제514호선 (영남대로), 강변로와 교차한다. 대신동에서 농산물도매시장앞을 지나 공단로와 교차하고, 지방도 제913호선 (감문로)과 만나는 이름 없는 교차로를 지난다. 개령면에서 국도 제3호선과 만나는 서부 교차로, 지방도 제997호선 (광한1길)과 만나는 광천입구를 지난다. 감문교를 지나 감문면으로 이어진다. 감문면에서 배시내삼거리에서 감문로와 교차하며, 습례교를 지난다.[38]
선산읍에는 습례교, 매실교, 국가지원지방도 제68호선 (선상서로)과 지방도 제916호선 (선상서로)이 중복되는 2호광장 교차로, 국도 제33호선 (약목선산로), 국가지원지방도 제68호선, 지방도 제916호선 (선산대로), 남문로가 만나는 1호광장 교차로, 조남로, 단계동길과 연결되는 동부교, 선산터미널, 선산중앙로, 동화3길이 만나는 시내 교차로, 국도 제33호선, 국가지원지방도 제68호선 (선산대로)이 만나는 (신)교리삼거리, 강동로가 만나는 생곡삼거리가 있다. 옥성면에는 농소교, 주아령로가 만나는 옥성삼거리, 지방도 제912호선 (산촌옥관로)가 중복 분기되는 구봉삼거리가 있다.[38]
낙단 교차로에서 국도 제25호선 (낙동대로)과 분기되고, 낙동면 낙동삼거리에서 지방도 제912호선 (영남제일로)과 분기된다. 낙동버스정류장을 지나 구잠삼거리에서 영남제일로와 다시 만나고, 동상주 나들목에서 서산영덕고속도로와 교차한다. 중동교를 건너 중동면으로 이어진다.[38][4]
다인면에는 덕지교, 서릉삼거리, 도암리, 서릉 교차로, 도암 졸음쉼터, 덕미 교차로가 있다.
풍양면 구간은 지방도 제916호선, 지방도 제923호선과 중복된다. 풍양사거리에서 상풍로, 낙상2길과 교차하고, 오지사거리에서 지방도 제916호선, 지방도 제923호선, 풍지로, 낙상1길과 교차한다. 청운삼거리에서는 청운길과 교차하며, 삼강교를 통해 문경시로 이어진다.[38]

4. 3. 1. 성주군

솔티재는 경상북도 성주군 수륜면경상남도 합천군의 경계에 있는 고개이다.[4][38] 가야산 백운동이 근처에 있다. 수륜면에는 덕운로와 교차하는 이름 없는 교차로, 국도 제33호선 (가야로)과 중복되는 수륜 교차로, 수륜교, 봉양로, 참별로, 적송3길, 적송4길과 만나는 적송 교차로(상행 진출 불가, 하행 진입 불가), 참별로와 만나는 신정교(상행 진출만 가능), 지방도 제913호선(동강한강로), 참별로와 만나는 신정 교차로, 참별로, 수성1길과 만나는 수성 교차로, 국도 제33호선(가야로), 수성3길과 만나는 수성2 교차로, 화죽교가 있다.[38]

가천면에는 참별로와 만나는 가천삼거리, 가천초등학교, 가천면 행정복지센터, 지방도 제903호선(창금로)과 만나는 창천삼거리, 창천교, 성주댐이 있다. 금수강산면에는 국도 제30호선(성주로)과 만나는 신성삼거리, 국도 제30호선과 중복되는 후평삼거리가 있다. 마지막으로 살타재가 있다.[38]

4. 3. 2. 김천시

(황산로)지좌동국도 제4호선과 중복김천교 교차로배다리길
황산3길김천교사거리강변로자산동용암사거리국도 제4호선
(자산로)자산동 행정복지센터선산통로사거리지방도 제514호선
(영남대로)
강변로농산물도매시장앞공단로대신동(이름 없음)지방도 제913호선
(감문로)서부 교차로국도 제3호선개령면광천입구지방도 제997호선
(광한1길)감문교감문면배시내삼거리감문로습례교


4. 3. 3. 구미시

wikitext

습례교가 선산읍에 있다.[38]

매실교가 선산읍에 있다.[38]

국가지원지방도 제68호선 (선상서로)과 지방도 제916호선 (선상서로)이 중복되는 2호광장 교차로가 선산읍에 있다.[38]

국도 제33호선 (약목선산로), 국가지원지방도 제68호선, 지방도 제916호선 (선산대로), 남문로가 만나는 1호광장 교차로가 선산읍에 있다.[38]

동부교가 선산읍에 있으며 조남로, 단계동길과 연결된다.[38]

선산터미널선산읍에 있다.[38]

선산중앙로, 동화3길이 만나는 시내 교차로가 선산읍에 있다.[38]

국도 제33호선, 국가지원지방도 제68호선 (선산대로)이 만나는 (신)교리삼거리가 선산읍에 있다.[38]

강동로가 만나는 생곡삼거리가 선산읍에 있다.[38]

농소교가 옥성면에 있다.[38]

주아령로가 만나는 옥성삼거리가 옥성면에 있다.[38]

지방도 제912호선 (산촌옥관로)가 중복 분기되는 구봉삼거리가 옥성면에 있다.[38]

4. 3. 4. 상주시

낙단 교차로에서 국도 제25호선 (낙동대로)과 분기되고, 낙동면 낙동삼거리에서 지방도 제912호선 (영남제일로)과 분기된다. 낙동버스정류장을 지나 구잠삼거리에서 영남제일로와 다시 만나고, 동상주 나들목에서 서산영덕고속도로와 교차한다. 중동교를 건너 중동면으로 이어진다.[38][4]

4. 3. 5. 의성군

덕지교, 서릉삼거리, 도암리, 서릉 교차로, 도암 졸음쉼터, 덕미 교차로가 의성군 다인면을 지난다.

4. 3. 6. 예천군

예천군 풍양면 구간은 지방도 제916호선, 지방도 제923호선과 중복된다. 풍양사거리에서 상풍로, 낙상2길과 교차하고, 오지사거리에서 지방도 제916호선, 지방도 제923호선, 풍지로, 낙상1길과 교차한다. 청운삼거리에서는 청운길과 교차하며, 삼강교를 통해 문경시로 이어진다.[38]

4. 3. 7. 문경시

4. 4. 충청북도

경상북도충청북도의 도계(道界)인 대강면에서 적성교를 건너면서 시작된다.[38][5] 방곡리에서는 도예로와 교차하고, 방곡삼거리에서는 도락산로와, 벌천삼거리에서는 벌천로와 교차한다. 단성면으로 진입하여 특선암교를 지나고, 가산삼거리에서는 사인암로와 교차한다. 단천초등학교 가산분교, 하선암교, 소선암자연휴양림을 차례로 지난다. 우화삼거리에서 국도 제36호선 (월악로)과 만나 중복되며, 우화교에서는 충혼길과 교차한다. 단성중학교를 지나 단성삼거리에서 충혼로와 교차하고, 단양1교를 건넌다. 북하삼거리에서 국도 제5호선, 국도 제36호선 (단양로)과 만나 중복된다. 단성역삼거리를 지나 단양읍으로 진입한다.

단양읍에서는 국도 제5호선과 중복된 상태로 현천삼거리에서 현천길과, 덕상삼거리에서 덕상후곡길과 교차한다. 덕상1교를 지나 심곡삼거리에서 단양심곡길과 교차한다. 심곡교, 단양역삼거리, 상진대교를 차례로 지나 단양삼거리(단양 교차로, 상진 교차로)에서 국도 제5호선 (단양로)과 분기되어 중복이 해제된다. 대명리조트 단양, 소금정공원, 단양시장을 차례로 지난다. 별곡사거리에서는 삼봉로, 중앙1로와 교차한다. 단양시외버스터미널, 고수대교를 지나 고수삼거리에서 다리안로와 교차한다. 고수재를 넘어 가곡면으로 진입한다.

가곡면에서는 덕천교삼거리에서 여천덕천로와, 아평삼거리에서 새밭로와 교차한다. 가곡초등학교, 가곡중학교, 가곡면사무소를 차례로 지나 가대교삼거리에서 지방도 제519호선 (어상천로)과 교차하고, 향산삼거리에서 지방도 제595호선 (구인사로)과 교차한다. 군간교를 건너 영춘면으로 진입한다.

영춘면에서는 군간교삼거리에서 지방도 제522호선 (강변로)와 만나 중복된다. 영춘면 사지원리 교차로에서 사지원로와 교차하며, 별방삼거리에서 지방도 제522호선 (별방만종로)과 분기되어 중복이 해제된다. 이후 명전마을을 지나 강원도로 이어진다.

4. 4. 1. 단양군

경상북도충청북도의 도계(道界)인 대강면에서 적성교를 건너면서 시작된다.[38][5] 방곡리에서는 도예로와 교차하고, 방곡삼거리에서는 도락산로와, 벌천삼거리에서는 벌천로와 교차한다. 단성면으로 진입하여 특선암교를 지나고, 가산삼거리에서는 사인암로와 교차한다. 단천초등학교 가산분교, 하선암교, 소선암자연휴양림을 차례로 지난다. 우화삼거리에서 국도 제36호선 (월악로)과 만나 중복되며, 우화교에서는 충혼길과 교차한다. 단성중학교를 지나 단성삼거리에서 충혼로와 교차하고, 단양1교를 건넌다. 북하삼거리에서 국도 제5호선, 국도 제36호선 (단양로)과 만나 중복된다. 단성역삼거리를 지나 단양읍으로 진입한다.

단양읍에서는 국도 제5호선과 중복된 상태로 현천삼거리에서 현천길과, 덕상삼거리에서 덕상후곡길과 교차한다. 덕상1교를 지나 심곡삼거리에서 단양심곡길과 교차한다. 심곡교, 단양역삼거리, 상진대교를 차례로 지나 단양삼거리(단양 교차로, 상진 교차로)에서 국도 제5호선 (단양로)과 분기되어 중복이 해제된다. 대명리조트 단양, 소금정공원, 단양시장을 차례로 지난다. 별곡사거리에서는 삼봉로, 중앙1로와 교차한다. 단양시외버스터미널, 고수대교를 지나 고수삼거리에서 다리안로와 교차한다. 고수재를 넘어 가곡면으로 진입한다.

가곡면에서는 덕천교삼거리에서 여천덕천로와, 아평삼거리에서 새밭로와 교차한다. 가곡초등학교, 가곡중학교, 가곡면사무소를 차례로 지나 가대교삼거리에서 지방도 제519호선 (어상천로)과 교차하고, 향산삼거리에서 지방도 제595호선 (구인사로)과 교차한다. 군간교를 건너 영춘면으로 진입한다.

영춘면에서는 군간교삼거리에서 지방도 제522호선 (강변로)와 만나 중복된다. 영춘면 사지원리 교차로에서 사지원로와 교차하며, 별방삼거리에서 지방도 제522호선 (별방만종로)과 분기되어 중복이 해제된다. 이후 명전마을을 지나 강원도로 이어진다.

4. 5. 강원특별자치도

영월군 남면 창원리에서 창원삼거리는 지방도 제519호선 (영월로)과 연결된다. 연당역을 지나 연당 교차로에서 국도 제38호선 (강원남로), 국가지원지방도 제88호선 (영월로)과 만난다. 연당 교차로부터 국도 제38호선과 중복된다. 각한터널(연장 약 945m)과 선들교를 지나 영월읍으로 진입한다.

영월읍에서는 방절터널(연장 약 230m)을 지나 영월 교차로에서 국가지원지방도 제88호선 (영월동로)과 분기된다. 국도 제38호선과의 중복은 계속된다. 영월1터널(상행 연장 약 490m, 하행 연장 약 390m), 장릉육교, 영월2터널(연장 약 980m), 봉래1교, 봉래터널(상행 연장 약 945m, 하행 연장 약 990m), 봉래2교, 덕포1교, 덕포2교를 지난다. 동영월 교차로에서 국도 제31호선 (영월로)과 만나며, 여기서부터 국도 제31호선, 국도 제38호선과 중복된다.

두평교, 샛돌교, 반송교, 반송터널(연장 약 270m)을 지나 연하 교차로에서 영월로와 분기되지만, 국도 제31호선, 국도 제38호선 중복은 계속된다. 연하대교와 석항1터널(연장 약 1050m)을 지나 중동면으로 진입한다.

중동면에서는 연상교, 석항2터널(상행 연장 약 360m, 하행 연장 약 420m)을 지나 석항 교차로에서 국도 제31호선, 국가지원지방도 제28호선 (영월로)과 분기된다. 여기서 국도 제31호선, 국도 제38호선과의 중복이 해제되고, 국가지원지방도 제28호선과 중복된다.[38][6]

4. 5. 1. 영월군

영월군 남면 창원리에서 창원삼거리는 지방도 제519호선 (영월로)과 연결된다. 연당역을 지나 연당 교차로에서 국도 제38호선 (강원남로), 국가지원지방도 제88호선 (영월로)과 만난다. 연당 교차로부터 국도 제38호선과 중복된다. 각한터널(연장 약 945m)과 선들교를 지나 영월읍으로 진입한다.

영월읍에서는 방절터널(연장 약 230m)을 지나 영월 교차로에서 국가지원지방도 제88호선 (영월동로)과 분기된다. 국도 제38호선과의 중복은 계속된다. 영월1터널(상행 연장 약 490m, 하행 연장 약 390m), 장릉육교, 영월2터널(연장 약 980m), 봉래1교, 봉래터널(상행 연장 약 945m, 하행 연장 약 990m), 봉래2교, 덕포1교, 덕포2교를 지난다. 동영월 교차로에서 국도 제31호선 (영월로)과 만나며, 여기서부터 국도 제31호선, 국도 제38호선과 중복된다.

두평교, 샛돌교, 반송교, 반송터널(연장 약 270m)을 지나 연하 교차로에서 영월로와 분기되지만, 국도 제31호선, 국도 제38호선 중복은 계속된다. 연하대교와 석항1터널(연장 약 1050m)을 지나 중동면으로 진입한다.

중동면에서는 연상교, 석항2터널(상행 연장 약 360m, 하행 연장 약 420m)을 지나 석항 교차로에서 국도 제31호선, 국가지원지방도 제28호선 (영월로)과 분기된다. 여기서 국도 제31호선, 국도 제38호선과의 중복이 해제되고, 국가지원지방도 제28호선과 중복된다.[38][6]

4. 5. 2. 정선군

정선군 관내의 국도 제59호선 구간은 다음과 같다.

4. 5. 3. 평창군

장전 교차로는 장전길과 연결된다.[6][38]

막동 교차로는 막동길과 연결된다.[6][38]

막동터널은 연장 247m이다.[6][38]

마랑치교는 하오개길과 연결된다.[6][38]

갈동교가 있다.[6][38]

막동3 교차로는 오대천로와 연결된다.[6][38]

막동4교가 있다.[6][38]

수항터널은 연장 496m이다.[6][38]

독가 교차로는 오대천로와 연결된다.[6][38]

중평 교차로(중평교)는 화의길과 연결된다.[6][38]

수항1 교차로는 아차골길과 연결된다.[6][38]

마평 교차로는 오대천로와 연결된다.[6][38]

마평교가 있다.[6][38]

마평1터널은 연장 235m이다.[6][38]

마평2터널은 연장 640m이다.[6][38]

신기교가 있다.[6][38]

신기 교차로는 지방도 제410호선(하송정길)과 연결된다.[6][38]

송정1교와 송정2교가 있다.[6][38]

거문 교차로는 오대천로와 연결된다.[6][38]

송정 교차로는 하송정길과 연결된다.[6][38]

하진부 교차로는 경강로 및 진부중앙로와 연결된다.[6][38]

진부체육공원교차로는 석두로와 연결된다.[6][38]

진부시외버스터미널 앞은 청송로와 연결된다.[6][38]

하진부교가 있다.[6][38]

오대교사거리는 진부로와 연결된다.[6][38]

이름 없는 곳은 진부중앙로와 연결된다.[6][38]

오대4 교차로는 국도 제6호선(둔내 ~ 무이간 도로)과 중복된다.[6][38]

가우교가 있다.[6][38]

가우1 교차로는 방아다리로와 연결된다.[6][38]

월정교가 있다.[6][38]

월정 회전교차로는 간평길과 연결된다.[6][38]

월정삼거리는 지방도 제456호선 (경강로)과 연결된다.[6][38]

병안삼거리는 오대산로와 연결된다.[6][38]

진고개는 해발 960m이며, 국도 제6호선과 중복된다. 대관령면과 경계이다.[6][38]

4. 5. 4. 강릉시

부연동삼거리에서 국도 제6호선(진고개로)과 분기된다.[6][38] 이후 백두대간 소득지원사업장, 전후치, 부연동계곡, 바두재를 지난다.

4. 5. 5. 양양군

바두재에서 송현사거리까지 구간이다.

5. 가야산 관통 구간 논란

1996년 국가지원지방도 제59호선 지정 당시 합천군 가야면 구간은 매안리에서 야천삼거리까지 가야산을 관통하는 것으로 계획되었으며, '가야산 관통도로' 또는 '가야 ~ 성기 간 도로'로 불리며 2000년 3월 착공하여 2005년 완공 예정이었다.[39] 그러나 해인사를 중심으로 한 조계종 불교계 및 환경단체에서 도로 건설을 강력하게 반대하였고[39], 이 때문에 처음 착공된 1공구 구간만 건설되었으며 경상남도에서도 해당 노선 변경을 건의하였다.[40] 2000년 4월, 지역 주민 및 환경단체가 경남지사를 상대로 제기한 도로구역결정처분취소 청구소송에서 우회도로 건설 권고가 채택되었다.[41] 이 권고는 법적 구속력은 없지만, 경상남도가 도로 건설을 강행할 경우 법원에서 중지시키겠다는 의미를 담고 있어 사실상 건설이 무산되었다.[41]

6. 도로명

광양시 태인동 용지삼거리에서 섬진대교삼거리까지 구간은 태인4길, 섬진대교삼거리에서 섬진대교까지 구간은 산업로로 지정되어 있다. 하동군에서는 금성면 섬진대교에서 금남면 계천사거리까지 구간은 산업로, 금남면 계천사거리에서 하동읍 하동 교차로까지 구간은 섬진강대로, 하동읍 하동 교차로에서 횡천면 횡천 교차로까지 구간은 충무공로, 횡천면 횡천 교차로에서 대덕삼거리까지 구간은 경서대로, 횡천면 대덕삼거리에서 옥종면 갈치재까지 구간은 돌고지로로 지정되어 있다. 산청군에서는 시천면 갈치재에서 문화마을까지 구간은 친환경로 23번길, 문화마을에서 삼성교 남단까지 구간은 내공길, 삼성교 남단에서 삼성교 북단까지 구간은 지리산대로1478번길, 삼성교 북단에서 원리 교차로까지 구간은 지리산대로, 원리 교차로에서 원리삼거리까지 구간은 남명로, 원리삼거리에서 차황면 황산교삼거리까지 구간은 친환경로, 차황면 황산교삼거리에서 거창군 신원면 수원삼거리까지 구간은 신차로로 지정되어 있다. 거창군 신원면 수원삼거리에서 합천군 봉산면 봉산삼거리까지 구간은 서부로, 가조면 도리에서 가야면 황산교 동단까지 구간은 가조가야로, 합천군 가야면 황산교 동단에서 가야교까지 구간은 가야시장로, 가야면 가야교에서 야천삼거리까지 구간은 가야산로, 가야면 야천삼거리에서 솔티재까지 구간은 야천로로 지정되어 있다.

성주군에서는 수륜면 솔티재에서 수륜 교차로까지 구간은 성주가야산로, 수륜면 수륜 교차로에서 수성2 교차로까지 구간은 가야로, 수성2 교차로에서 가천면 가천삼거리까지 구간은 참별로, 가천면 가천삼거리에서 금수면 신성삼거리까지 구간은 가천로, 금수면 신성삼거리에서 후평삼거리까지 구간은 성주로, 금수면 후평삼거리에서 김천시 지좌동 감천삼거리까지 구간은 금감로로 지정되어 있다. 김천시 지좌동 감천삼거리에서 김천교 교차로까지 구간은 황산로, 지좌동 김천교 교차로에서 자산동 용암사거리까지 구간은 자산로, 자산동 용암사거리에서 선산통로사거리까지 구간은 용암로, 자산동 선산통로사거리에서 개령면 서부 교차로까지 구간은 환경로, 개령면 서부 교차로에서 구미시 선산읍 2호광장까지 구간은 김선로로 지정되어 있다. 구미시 선산읍 2호광장에서 1호광장까지 구간은 선상서로, 선산읍 1호광장에서 교리삼거리까지 구간은 선산대로, 선산읍 교리삼거리에서 상주시 낙동면 낙동삼거리까지 구간은 선상동로, 상주시 낙동면 낙동삼거리에서 구잠삼거리까지 구간은 영남제일로, 낙동면 구잠삼거리에서 의성군 다인면 서릉삼거리까지 구간은 상주다인로로 지정되어 있다. 의성군 다인면 서릉삼거리에서 덕미삼거리까지 구간은 서부로, 다인면 덕미삼거리에서 문경시 산양면 불암사거리까지 구간은 삼강로, 문경시 산양면 불암사거리에서 불암삼거리까지 구간은 산양로, 산양면 불암삼거리에서 동로면 적성교까지 구간은 금천로로 지정되어 있다.

단양군에서는 대강면 적성교에서 단성면 우화삼거리까지 구간은 선암계곡로, 단성면 우화삼거리에서 북하삼거리까지 구간은 월악로, 단성면 북하삼거리에서 단양읍 단양삼거리까지 구간은 단양로, 단양읍 단양삼거리에서 별곡사거리까지 구간은 삼봉로, 단양읍 별곡사거리에서 단양시외버스터미널까지 구간은 중앙2로, 단양읍 단양시외버스터미널에서 고수삼거리까지 구간은 다리안로, 단양읍 고수삼거리에서 가곡면 아평삼거리까지 구간은 고수재로, 가곡면 아평삼거리에서 영춘면 군간교삼거리까지 구간은 남한강로, 영춘면 군간교삼거리에서 명전마을까지 구간은 별방창원로로 지정되어 있다.

영월군 남면 창원리에서 창원삼거리까지 구간은 별방창원로, 남면 창원삼거리에서 연당 교차로까지 구간은 영월로, 남면 연당 교차로에서 정선군 남면 문곡 교차로까지 구간은 강원남로로 지정되어 있다. 정선군 남면 문곡 교차로에서 정선읍 월통 교차로까지 구간은 칠현로, 정선읍 월통 교차로에서 애산 교차로까지 구간은 새터길, 정선읍 애산 교차로에서 정선1교삼거리까지 구간은 칠현로, 정선읍 정선1교삼거리에서 덕송 교차로까지 구간은 정선로, 정선읍 덕송 교차로에서 북평면 나전삼거리까지 구간은 서동로로 지정되어 있다. 정선군 북평면 나전삼거리에서 평창군 진부면 하진부 교차로까지 구간은 오대천로, 평창군 진부면 하진부 교차로에서 월정삼거리까지 구간은 경강로, 진부면 월정삼거리에서 강릉시 연곡면 부연동삼거리까지 구간은 진고개로로 지정되어 있다. 강릉시 연곡면 부연동삼거리에서 양양군 현북면 어성전1교까지 구간은 부연동길, 양양군 현북면 어성전1교에서 현성삼거리까지 구간은 어성전길, 현북면 현성삼거리에서 양양읍 남단 교차로까지 구간은 남대천로, 양양읍 남단 교차로에서 손양면 송현사거리까지 구간은 안산1길로 지정되어 있다.

참조

[1] 법령 대통령령 제15101호 일반국도노선지정령 http://likms.assembl[...] 1996-07-01
[2] 문서
[3] 문서
[4] 문서
[5] 문서
[6] 문서
[7] 법령 대통령령 제15102호 고속국도노선지정령 http://likms.assembl[...] 1996-07-01
[8] 법령 대통령령 제15101호 일반국도노선지정령 http://likms.assembl[...] 1996-07-01
[9] 법령 대통령령 제15124호 국가지원지방도노선지정령 http://www.law.go.kr[...] 1996-07-19
[10] 법령 대통령령 제17349호 국가지원지방도노선지정령 http://likms.assembl[...] 2001-08-25
[11] 법령 대통령령 제17348호 일반국도노선지정령 http://likms.assembl[...] 2001-08-25
[12] 간행물 대전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01-225호 http://gwanbo.mois.g[...] 2001-10-15
[13] 간행물 강원도고시 제2001-232호 http://www.provin.ga[...] 2001-11-03
[14] 간행물 원주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04-79호 http://www.provin.ga[...] 2004-10-08
[15] 간행물 대전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04-219호 http://cblib.cb21.ne[...] 2004-10-08
[16] 간행물 대전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07-32호 http://gwanbo.mois.g[...] 2007-03-21
[17] 간행물 원주지방국토관리청 공고 제2008-90호 http://www.provin.ga[...] 2008-12-19
[18] 간행물 부산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09-164호 http://gwanbo.mois.g[...] 2009-07-06
[19] 간행물 부산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09-165호 http://gwanbo.mois.g[...] 2009-07-06
[20] 간행물 원주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09-65호 http://wcmo.molit.go[...] 2009-10-05
[21] 간행물 부산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10-278호, 제2010-279호 http://gwanbo.mois.g[...] 2010-12-15
[22] 간행물 경상남도공고 제2011-757호 http://www.gyeongnam[...] 2011-11-24
[23] 간행물 원주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11-54호 http://gwanbo.mois.g[...] 2011-12-20
[24] 간행물 부산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12-6호, 제2012-7호 http://gwanbo.mois.g[...] 2012-01-12
[25] 간행물 경상남도공고 제2013-15호 http://210.104.249.3[...] 2013-01-10
[26] 뉴스 83년 만에 다시 이은 문경 백두대간 벌재 구간 http://news.imaeil.c[...] 매일신문 2013-07-04
[27] 간행물 강원도공고 제2016-1366호 http://www.provin.ga[...] 2016-12-27
[28] 간행물 원주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17-108호 http://gwanbo.mois.g[...] 2017-12-27
[29] 간행물 원주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17-109호 http://gwanbo.mois.g[...] 2017-12-27
[30] 간행물 원주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17-110호 http://gwanbo.mois.g[...] 2017-12-27
[31] 간행물 부산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18-260호 http://gwanbo.mois.g[...] 2018-12-26
[32] 간행물 부산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18-261호 http://gwanbo.mois.g[...] 2018-12-26
[33] 간행물 부산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18-264호 http://gwanbo.mois.g[...] 2018-12-27
[34] 간행물 부산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18-265호 http://gwanbo.mois.g[...] 2018-12-27
[35] 간행물 원주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22-63호 https://gwanbo.go.kr[...] 2022-07-08
[36] 간행물 부산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22-168호 https://gwanbo.go.kr[...] 2022-09-15
[37] 간행물 부산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22-169호 https://gwanbo.go.kr[...] 2022-09-15
[38] 문서
[39] 뉴스 조계종 "가야산 관통도로 개설 결사 반대" https://news.naver.c[...] 연합뉴스 2001-05-29
[40] 뉴스 경남도 가야산 관통도로 노선 변경건의 https://news.naver.c[...] 연합뉴스 2001-05-30
[41] 뉴스 환경련, 가야산 관통 막았다 https://news.naver.c[...] 국민일보 2001-08-0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